
일본의 경제보복에 대해 한국정부에서 비난하고 이에대한 대책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 국민들 사이에서도 불매운동이 일어나고 있고 이에 맞춰 한국마트협회에서도 일본산 판매 금지를 하겠다는 선언을 하였다고 합니다.
한국마트협회는 편의점과 슈퍼마켓으로 이루어진 협회라 합니다.. 간단히 동네 마트는 일본산을 판매하지 않겠다는 선언인 셈입니다.
동네마트.. 자주 이용해야 겠습니다..
그리고 온라인 상에서도 일본산을 사지 말자며 일본 제품을 정리한 목록이 올라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부가 나서서 불매운동을 주도하면 국제법상에 걸립니다. 따라서 정부는 외교적 노력을 다하기를 요구하면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불매운동을 한다면 외교적으로 WTO에도 걸릴건 없습니다.
그동안 혐한이다 뭐다 하며 한국을 무시하고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로 마찰이 있었지만 이렇게 직접적인 경제보복을 하니 한국으로선 가만히 있을 수는 없겠죠..
하지만 국가간의 무역문제에 국가가 직접 움직인다면 한국정부가 일본정부에 외교적 압박을 가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똑같이 보복조치등으로 인해 WTO등에 제소를 당할 수도 있는거죠.. 현재는 한국이 일본을 제소하겠지만..
물론 이런 불매운동을 한다 하더라도 직접적인 타격은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불매운동이 일어났다 하더라도 지금도 일본제품을 구입하고 일본 기업 판매 매장에 들어가는 사람도 있기에 문제가 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왜 불매운동이 일어나고 왜 한국인이 불매운동까지 해가며 항의하는 이유를 잊지 않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게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어차피 일본정부.. 아베 총리도 자신들이 한 행동이 경제보복이라는 걸 인정했습니다. 한국정부가 나서서 수입을 차단하거나 한다면 똑같은 보복조치로 일본이 반격할 여지를 줄 수 있기에 소비자인 국민이 알아서 자발적으로 일본산을 구매하지 않는다면 한국 국민의 항의를 언젠간 일본이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도 일본 언론매체가 이를 보도하고 있으니 성과가 아예 없다고 볼 수 없죠.. 비록 불매운동이 한순간의 산들바람으로 끝날 수도 있겠지만 익숙해진다면 일본산을 대체할 많은 제품들이 있으니 다른 제품으로 눈을 돌릴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박근혜 정권때 위안부 할머니들의 반발을 무시하고 위안부 협정을 맺고 강제징용 판결을 대법원장이 의도적으로 질질 끌어 불씨를 만든 댓가가 지금의 보복이니 그때 외교부 장관이었던 윤XX 전 장관과 현재 재판중인 양XX 전 대법원장은 이런 결과를 보고 무슨 생각을 할까요?